자동차 성능시험
8. 가파른 비탈길 시험 [steep hill climbing test]
이번시간엔 앞서 알아본 ‘자동차 성능시험의 최고속도시험’에 이어 ‘비탈길시험’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가파른 비탈길 시험은 경사가 일정한 비탈길에서 시행한다.
① 시험도로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인공적으로 만든 비탈길이 이상적이다. 경우에 따라서는 단단한 토질 또는 잔디 등의 자연적인 비탈길로 하고, 일정한 구배의 길이 20m 이상의 측정구간이 있어야 한다. 또한 측정구간에는 발진에 적합한 5m의 보조주행도로를 둔다.
② 측정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다. 다만 도중에 비탈길 오르기가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는, 그 지점까지의 소요시간을 측정한다.
③ 사용 변속기어는 발진할 때부터 최저 단으로 하고, 또한 변속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.
④ 완전히 비탈길을 올랐을 때는 더 가파른 비탈길에서 시험하고, 최대등반능력을 판정한다. 다만, 적당한 비탈길이 없을 때는 동일한 비탈길에서 상단기어를 사용하여 비탈길 오르기가 가능한 기어를 결정하고, 또는 적재중량을 증가하고, 능력한도를 판정한다.
⑤ 비탈길 오르기가 불가능할 때는 적재량을 줄이든가, 구배가 낮은 비탈길에서 시험한다.
⑥ 차륜이 미끄러져서 비탈길 오르기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타이어체인을 사용하거나, 또는 미끄럼을 방지하고 시험한다.
⑦ 시험 결과를 다음 식에 대입하여 등반소요출력(Ps)을 구한다.
2013년7월22일에 국가표준은 폐지하고 제작사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성능시험이다.
이상으로 ‘자동차 성능시험의 가파른 비탈길시험‘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. 다음 시간엔 이어서 ‘자동차 긴 비탈길시험’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오늘 알아본 자동차의 가파른 비탈길시험이 여러분들의 자동차관리에 도움 되어 안전운전으로 쾌적한 자동차 생활이 되시기 바랍니다.
[시행 2017. 1. 9.] [국토교통부령 제386호, 2017. 1. 9., 일부개정]